언리얼 엔진프로젝트를 협업을 해서 여러명이서 같이 만들려면
보통 git을 사용해서 서로의 제작파일을 합쳐서 만든다
먼저 github로그인부터 하자
New를 눌러 새로 공유할 프로젝트를 제작해줍니다
Repository Name 즉 프로젝트 이름을 적어주시고
Public / Private Public은 나의 프로젝트를 깃에 마음대로 어떤사람들이든지 볼수있게 할수있는옵션이고
Private는 내가 지정한 사람들만 볼수있게 할수있는 옵션입니다
개인프로젝트를 할거면 Private를 추천드립니다
ReadMe 옵션에 체크 해주시고
Add.gitIgnore를 UnrealEngine으로 하고 생성합니다 해당옵션을 설정후 우측하단에 버튼을 눌러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그리고 이제 깃허브 데스크탑을 다운해줍니다
https://desktop.github.com/download/
Download GitHub Desktop
Simple collaboration from your desktop
desktop.github.com
그러면 해당 보시는 이 폴더가 이제 공유되는 깃 폴더입니다
gitignore를 누릅니다
gitignore란 깃으로 공유할 내용중에 공유하지 않을 폴더를 미리 설정해주는 세팅입니다
그리고 해당 글을 복사붙혀넣기 해줍니다
# Visual Studio 2015 user specific files
.vs/
# Compiled Object files
*.slo
*.lo
*.o
*.obj
# Precompiled Headers
*.gch
*.pch
# Compiled Dynamic libraries
*.so
*.dylib
*.dll
# Fortran module files
*.mod
# Compiled Static libraries
*.lai
*.la
*.a
*.lib
# Executables
*.exe
*.out
*.app
*.ipa
# These project files can be generated by the engine
*.xcodeproj
*.xcworkspace
*.sln
*.suo
*.opensdf
*.sdf
*.VC.db
*.VC.opendb
*.bat
# Precompiled Assets
**/SourceArt/**/*.png
**/SourceArt/**/*.tga
# Binary Files
**/Binaries/*
**/Plugins/*/Binaries/*
# Builds
**/Build/*
# Whitelist PakBlacklist-<BuildConfiguration>.txt files
!Build/*/
Build/*/**
!Build/*/PakBlacklist*.txt
# Don't ignore icon files in Build
!Build/**/*.ico
# Built data for maps
**/_BuiltData.uasset
# Configuration files generated by the Editor
**/Saved/*
# Compiled source files for the engine to use
**/Intermediate/*
**/Plugins/*/Intermediate/*
# Cache files for the editor to use
**/DerivedDataCache/*
#bat file
**/*.bat
*/*.bat
그대로 복사 하신다음에 gitignore에 복사 붙혀넣기 한후 저장해주세요
이제 저희의 프로젝트를 폴더에 넣어보겠습니다
복사후 저희 깃 프로젝트 Show In Explorer폴더안에
깃허브 데스크탑을 보시면 여러가지가 나올텐데
지금 보고있는 화면에서 깃 원래 있던 내용에서 추가된 내용이 보이는겁니다 우측에서 보이는
빨간글씨는 원래있던내용에서 수정되어 누락된 부분
초록색부분은 원래 있던내용에서 추가되어 새로 추가된 부분
좌측하단에 제목과 부제목(설명)을 넣고 Commit to main버튼을 눌러줍니다
우측 상단에 있는 Push Origin을 눌러줍니다
그러면 저희가 수정한 내용이 푸쉬(업데이트) 가 됩니다
History를 누르면 방금 공유한 내용을 확인할수있습니다
기록에서 마우스우클릭으로 Revert changes in commit (되돌리기)
나 Reorder commit(다시 업로드하기) 등 여러가지 세팅을 할수 있습니다
History에 저희가 올린 내용을 확인할수있다면
저희가 깃에 저희의 프로젝트를 Push (업데이트) 했다는것입니다
이제 깃을 사용하실때
(방법1)
show in explorer안에서 gitignore과 readme 파일만 제외하고 자신의 컴퓨터에 복사해서
프로젝트에서 자기가 하실걸 하시고
바뀐부분만 이 show in explorer 안에 (*바뀐 부분만) 복사붙혀넣기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혹은
(방법2)
깃 안에서 바로 작업을 해주시면 github desktop에서 바뀐부분만
바로 나와서 작업후 push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저는 방법1을 추천드립니다
안전하게 백업도 할수있으며 잘못되면 discard 해서 되돌리기 후 다시 push도 가능합니다
언리얼엔진내에서 콘텐츠 폴더 내에서 자신이 사용할 폴더를 제작(MyForder)
그리고 이 폴더안에서 작업을 한뒤
자신의 작업한 MyForder만 복사 붙혀넣기를 해줍니다
그러면 딱 자기가 작업한 부분만 업데이트 되겠죠?
만약 자신의 프로젝트가 c++ 을 사용하는 프로젝트의 경우
제일 상위 폴더에
.vs, Binaries, Source, .vsconfig, sln파일 이 더 추가됩니다
이런식으로 sln 파일이 있을텐데
Source -> 자신의 프로젝트 -> 자신이 바꾼 내용 혹은 추가한 sln파일 을 깃에 올려주시고
push 업데이트 해주시면되겠습니다
깃에 다 올렸으니 받는 사람의 경우
파일을 받고 generate visual studio project files 을 눌러주시면
프로젝트에 필요한 sln 파일(c++) 혹은 필요한 파일을 생성해줍니다
만약 파일을 받았는데 제데로 파일의 업데이트가 변경이 되지않았던가
아니면 sln파일이 제데로 빌드가 되지않는 경우
.vs, Binaries, .vsconfig, sln파일을 삭제후
다시 Generate 해주시면 다시 폴더가 생성 그리고 다시 Sln 파일에서 반드시 build 후
프로젝트를 열어보시면 제데로 반영되어있으실껍니다
아까만든 gitignore파일때문에 generate해서 알아서 생성될 파일인
.vs, Binaries, .vsconfig, sln파일은 깃이 공유되지않습니다
generated 해서 사용하시면되겠습니다
삭제해도되는 파일
.vs , Binaries, .Vsconfig, sln파일
절대 삭제하면 안되는파일
Content, Source
그러면 이제 공유받을 대상분들을 제가만든 깃에 초대해보겠습니다
초대할 대상을 검색후 초대해주시면되겠습니다
그리고 초대받을 대상이 초대메일에 응답하시면 초대가 완료 됩니다
이렇게 깃허브 와 깃허브 데스크탑을 사용하여 언리얼엔진프로젝트를 공유할수있습니다
+
최신버전을 받지않고 push업데이트를 해버리면 branch 오류가 날수있습니다
마지막 push전 버전을 확인해줍시다
+
에셋이나 파일에 용량이 과하게 큰건 깃 무료버전에 업로드가 되질않습니다
(ex 동영상 파일이나 이미지파일), 필요없는건 제외하고 업로드해줍시다
+
언리얼엔진에서 프로젝트 세팅 설정을 변경했을경우
Config폴더에 설정값이 저장되어있습니다
프로젝트 세팅을 변경했을시 Config폴더도 잘 공유해주도록 해줍시다
'Unreal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리얼 - 폰트 변경하기 (0) | 2025.06.09 |
---|---|
FBX파일이 아닌 에셋 언리얼에셋으로 컨버트시키기 (0) | 2025.05.27 |
BehaviorTree 단순 좌표 이동 (0) | 2025.05.22 |
Unreal - 유용한 무료 에셋 사이트 (에셋구하는법) (0) | 2025.04.23 |
언리얼 GitHub(깃허브) 플러그인 공유하는법 (0) | 2025.04.13 |